close

  • 인천
  • 서울
  • 남양주
  • 의정부
  • 수원
  • 부천
  • 천안
  • 대전
  • 청주
  • 광주
  • 목포
  • 부산

LAW-WIN

사건 영역

이름

전화번호

상담 신청

Case

chevron_right

지식센터

회생, 파산

“Global Ironway 프로젝트”: 철강 산업의 생존을 위한 새로운 비전

주축 기업: 포스코홀딩스, 현대제철
연계 파트너: 코레일,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수출입은행, K-EXIM, 산업은행

 


 

I. 배경: 생존을 위한 탈중앙적 철강 전략
 

미국, EU 등 선진국은 자국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강화하고 있음


한국 철강사는 고부가 제품이 아닌 이상,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할 수 없는 구조


내수는 포화, 건설·조선 경기 침체 → 국내 수요 기반은 붕괴


중국과 인도는 내수 확대 + 정부 보조금, 경쟁에서 점점 밀려남

 

 


 

II. 핵심 전략: 아프리카 철도 + 철강 복합 사업
 

1. 자원 부국 내 철강 + 철도 인프라 동시 개발
철강소재가 풍부한 가봉, 기니, 앙골라, 남아공
철강산업 + 철도망 동시 건설
철도는 철강 제품의 소비처이자 산업 기반 자체가 됨


2. 코레일의 운영 노하우와 포스코의 소재기반 융합
포스코는 철근, 레일, 트러스, 강관 등 전 제품군 공급
코레일은 철도 운영, 차량, 신호체계 기술 이전
KIND·KOTRA는 사업 타당성 조사 및 국제 입찰 수행
수출입은행은 30년 만기 장기 금융 패키지 제공


3. “K-Iron Belt” 구축: 철강-운송-도시 확장 네트워크
주요 자원국에서 철광석 수출과 함께 현지 제철
연결된 철도망을 통해 내륙 물류망 확보 → 시장 확대
주변국 연계형 인프라 투자 → 지역 공동 시장 진입

 


 

III. 예시 시나리오: 코트디부아르-기니-가나 벨트
 

요소내용
국가코트디부아르, 기니, 가나
사업 내용철광석 채굴 + 소형 제강소 설치 + 철도망 구축
철강사포스코인터내셔널, 현대제철
운송코레일, 현대로템
금융수출입은행, 산업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전략 목표현지 조달-생산-운송 통합망 완성, 연간 수익화 10년차 목표

 



IV. 경제적·정치적 파급효과
 

1. 철강산업의 고착된 내수 의존성 탈피
→ 공급망 자체를 해외에 분산


2. K-철강 + K-인프라 패키지 수출 모델 정립
→ 철강제품만이 아닌 도시화 모델 수출로 격상


3. 한국형 산업 외교의 선례 마련
→ 일대일로에 대한 대안형 민관협력(PPP) 모델 수출


4. 금융·법률 서비스 동반 진출
→ 프로젝트 파이낸싱, 현지 계약법, 리스크 보험 등 부대 산업 확장

 


 

V. 법무법인의 역할: 계약·위험 관리 기반 확보
 

국제 EPC계약의 체계적 설계


▶ 장기 금융 계약 및 담보 구조 설계


▶ 현지 법률 시스템과 한국법 간 충돌 조율


▶ 현지 투자자 보호와 분쟁 조정 프로토콜 수립

 


 

결론: 철강 산업은 '해외로, 복합적으로, 국가 전략적으로'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단순한 철강 수출 기업이 아닌,
국가 산업전략의 선봉으로서 ‘복합 수출 전환형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해야 합니다.


그 핵심은 ‘철강 단품 수출’이 아니라
철강 + 운송 + 도시 + 금융의 통합 인프라 수출입니다.

 

위치: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92, 법무법인 법승
상담번호 : 02-1660-0729
긴급 상담번호 : 010-5550-0585

#철강산업 #GlobalIronway #포스코 #현대제철 #철강 #아프카인프라 #KIND #코레일 #철도사업 #해외인프라개발 #산업외교 #PPP모델 #수출입은행 #KEXIM #산업은행 #철강수출전략 #해외시장확대 #복합수출 #프로젝트파이낸싱 #법률자문 #해외투자 #경제협력 #인프라수출 #글로벌진출 #무역금융 #국제사업 #공공민간협력 #수출경쟁력 #산업전략 #K인프라

비슷한 지식칼럼

관련된 성공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