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 부천
  • 서울
  • 남양주
  • 의정부
  • 수원
  • 인천
  • 천안
  • 대전
  • 청주
  • 광주
  • 목포
  • 부산

LAW-WIN

사건 영역

이름

전화번호

상담 신청

Case

chevron_right

지식센터

행정, 기업 / 회생, 파산

🇰🇷🇯🇵 한일 아프리카 공동 진출 전략 ― 기술 이전형·공동 발전형 인프라 수출 모델로 중국 BRI에 대한 대안 제시 ―

 

 

「KJ-IDI 프로젝트: Korea Japan Industrial Diplomacy Initiative」
 

― 기술 이전형·공동 발전형 인프라 수출 모델로 중국 BRI에 대한 대안 제시 ―

 

 


 

1. 전략 배경: BRI의 빈틈을 찌르다
 

 

📌 중국 BRI 모델의 문제점
 

과잉 부채 유발: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 차관으로 인해 디폴트 위험 증가


기술 자립 불가능: 현지 고용·기술 이전 비율 낮음 → 독립적 산업화 미흡


정치적 종속: 인프라 외교를 통한 정치적 영향력 확대 시도


한국·일본은 “책임 있는 인프라 외교”로 BRI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국가

 

 


 

2. 전략 기조: “기술로 짓고, 함께 운영하고, 미래를 나눈다”
 

항목내용
🛠️ 기술 이전형플랜트·철도·에너지 설비를 단순 건설이 아닌 기술 학습 중심으로 이전
🤝 공동 발전형운영권 독점이 아니라 현지 참여형 지분 구조 + 운영 공동체 설계
💰 ODA 결합형사업 전반을 ODA+PF(Project Finance) 결합으로 구성하여 위험 분산
🧑‍🏫 인력 파견형한국·일본 인력 파견과 동시에 현지 기술자 양성 프로그램 연계
🏢 시스템 구축형철강/철도/물류/세관/재무회계 시스템 등 산업 인프라 전체 패키지 수출

 



3. 구조도 요약: '산업 파트너십 모델'

 [ODA] + [PF 금융지원]
       ↓
 ┌────────────────┐

 │   한일 공동 SPC   │  ← 법인설립: 60%(한일 컨소시엄) + 40%(현지 정부·투자자)
 └────────────────┘
        ↓    

[플랜트 건설] [철도망 구축] [기술학교 설립]
        ↓    

운영권 → 10~20년 후 기부채납 or 지분 이전
        ↓

로열티 & 기술지원 계약 지속

 



4. 기대 효과: 한국과 일본, 그리고 아프리카 모두에게 윈윈
 

이해 당사자효과
한국철강·기계·IT기업의 해외 생산기지 확보, 일자리 창출, 글로벌 공급망 재설계
일본고급기술(열차, 전력, 용접 등) 수출, 국제 정치 위상 회복
아프리카인프라 확보 + 자립형 산업 구조 + 고급 인력 양성 + 부채 종속 탈피

 



5. 정책·법률적 준비 사항


- SPC 설립 관련 이중과세 방지 협약 체결


- 철강 플랜트 설비 수출 계약 + 로열티 계약 + 기부채납 조건 계약


- ODA 자금과 PF 자금의 구분 회계 및 책임 구조 명확화


- 국제 중재 조항 삽입 + 현지 노동법 연계 교육 훈련 규정 포함


- 산업 기술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공공-민간 파트너십 법령 검토

 


 

6. 적용 가능 산업군 예시
 

분야한국 역할일본 역할
철강 플랜트POSCO, 현대제철JFE, 닛폰스틸
철도 차량현대로템JR동일본, 히타치
인프라 건설GS건설, DL이앤씨오바야시, 다이세이
법률 및 시스템법무법인 법승 등미쓰비시UFJ신탁 등
에너지한전, LS일렉트릭도시바, 미쓰비시

 



7. 실제 모델 적용 국가 제안
 

대상 국가특징비고
🇰🇪 케냐Mombasa–Nairobi 철도 연결 필요현지 정부 ODA 수요 높음
🇬🇭 가나해안 항만–광산 내륙 연결망 구축 필요코레일·포스코 모델 적용 가능
🇪🇹 에티오피아고지대 내륙국, 철강 소비 및 물류 병목ODA 결합형 철강소 수출 적합
🇲🇿 모잠비크천연가스 및 석탄 자원 + 항만 보유철도-자원 연계형 플랜트 구축 유망

 



“산업 외교는 기술과 신뢰로 완성된다”
 

이제 한국과 일본은 아프리카에 ‘또 다른 선택지’를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기술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산업을 나누는 것.
공장을 짓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함께 짓는 것.
 

이것이 “KJ-IDI”


한국과 일본이 함께 설계하고, 함께 지키고, 함께 발전하는 산업 외교 모델입니다.

#한일협력 #아프리카투 #인프라개발 #기술이전 #공진출 #KJIDI #산업외교 #중국BRI대안 #지속가능개발 #ODA결합 #프로젝트파이낸스 #현지화전략 #아프카시장 신흥시장 #경제협력 #해외건설 #철강플랜트 #철도구축 #에너지사업 #아프리카성장 #개발협력 #글로벌파트너십 #윈윈전략 #한국기업 #일기업 #책임있는투자 #미래산업 #첨단기술 #아프리카미래 #동반성장

비슷한 지식칼럼

관련된 성공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