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전화
부산 형사 전문 변호사 이승우의 글로벌 인프라 전략 인사이트
목차
1. 아프리카 철도 시장, 왜 지금인가
2. 4대 주역 – 포스코·현대제철·코레일·국내 은행의 역할
3. 일본과의 기술 협력 시너지
4. 관세 50% 인하, 국제 협력의 문을 열다
5. 중국식 ‘약탈 모델’이 아닌 상생 모델의 설계
6. 부산의 글로벌 관문 도시로서의 역할
7. 결론 – 철로 잇는 경제, 사람, 미래
1. 아프리카 철도 시장, 왜 지금인가
아프리카는 대륙 전역에서 철도 인프라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광물·농산물의 수출, 내륙 물류 연결, 도시 간 인적 교류를 위해 철도망 확충은 필수입니다. 지금은 단순 건설을 넘어 운영·기술 이전까지 포함한 장기 파트너십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2. 4대 주역 – 포스코·현대제철·코레일·국내 은행의 역할
포스코·현대제철: 아프리카 현지 기후·지형에 맞춘 내구성 높은 철강재 공급과 제철 기술 전수 가능. 이는 단순 판매가 아닌 ‘기술이 남는 거래’가 됩니다.
코레일: 철도 건설 이후 운영·유지보수·인력 양성까지 제공하여, 장기적 안정성을 담보합니다.
국내 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같은 금융 솔루션으로 초기 자금 부담을 줄이고, 국제 투자 신뢰를 확보합니다.

3. 일본과의 기술 협력 시너지
일본은 신칸센 고속철도와 동남아 등지에서 축적한 철도 사업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제철·운영 기술과 결합하면, 아프리카에 최적화된 종합 철도 패키지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제 경쟁 입찰에서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4. 관세 50% 인하, 국제 협력의 문을 열다
최근 관세 협상에서 철강·부품 분야 관세를 50% 인하하는 합의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철도 사업의 핵심 자재인 철강과 철도 부품의 가격 경쟁력을 크게 높여, 아프리카 진출 시 비용 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 관세 인하는 단순 가격 혜택을 넘어, 양국 간 신뢰와 장기 협력의 촉매제가 됩니다.
5. 중국식 ‘약탈 모델’이 아닌 상생 모델의 설계
중국 일부 인프라 사업은 과도한 채무 부담과 현지 경제 종속 문제를 초래했습니다. 한국과 일본이 함께 설계하는 모델은
기술 이전
현지 인력 양성
운영 수익 공유
등의 방식으로 경제 자립을 지원합니다.
6. 부산의 글로벌 관문 도시로서의 역할
부산은 대한민국 제1의 해양 물류 거점입니다. 철도 건설 자재, 운송 장비, 금융·보험 서비스까지 원스톱 공급망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부산항과 북항 재개발, 철도·항만 연계 물류는 아프리카 진출의 전초기지로서 최적입니다.
7. 결론 – 철로 잇는 경제, 사람, 미래
아프리카 철도 사업은 단순한 건설 프로젝트가 아니라, 미래를 잇는 다리입니다. 한국과 일본이 함께 설계하고, 부산이 출발점이 되어 경제·기술·문화 협력의 플랫폼이 될 수 있습니다.
법률 자문이 필요하다면 주저 말고 법무법인 법승 부산사무소에 연락하세요.
위치: 부산역 SK렌터카 있는 교직원공제 건물 7층 |
부산사무소 대표 번호: 051-714-5240 |
이승우 변호사 긴급 상담: 010-3606-1562 |
칼럼 소식이 도움이 되었다면
상단의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